EAAFP ? ?, 뉴 스

Read in English

글: EAAFP 사무국

대한민국의 2015 ‘세계 철새의 날’을 기념하고자 EAAFP, 서산시국립생물자원관과 협력하여 환경부 초청 하에 지난 5월 15~16일 양일 간 국내 철새서식지 네트워크 관리자 워크숍이 서산시 버드랜드에서 개최되었다. 기념 개회식은 김영인 서산시 부시장의 환영사를 시작으로 스파이크 밀링턴 (Spike Millington) EAAFP 사무국장과 김종윤 금강청 환경관리국장의 축사가 이어졌다.

국내외 이동성물새와 그들의 서식지에 관한 새로운 정보와 지식을 공유하기 위해 마련된 이번 워크숍은 관리자들로 하여금 각각의 서식지가 안고 있는 문제점과 개선 방안, 모범 관리 사례에 대해서 활발히 토론할 수 있었던 매우 유익한 기회의 장이었다.

_CEJ1086
서식지 관리자 워크숍 회의 모습 ©EAAFP/Eugene Cheah

워크숍의 주요 현안 중 하나는 조류 인플루엔자(AI)와 철새와의 상관관계에 대한 이해 및 대중들의 인식 부족에 관한 것이었다. 그동안 일부 당국 관계자들의 잘못된 이해로 말미암아 철새들은 AI의 매개체로 오해를 받아왔다. 특히 가금류 농장주들은 이를 기정 사실로 받아들이며, 철새가 AI 사태를 불러일으켜 양계장에 큰 피해를 줄 수 있다고 여겨왔다. 하지만 실상 조류 인플루엔자 사태는 주로 양계장의 사육환경, 위생상태 때문에 비롯되기에 철새 역시 AI의 피해자라는 점을 대중들에게 확실하게 주지시킬 필요가 있다. 또한 AI 발병의 대응조치 수단으로 양계장의 체계적인 관리와 수송 시스템을 향상시키는 데에 보다 초점을 맞춰야 할 것이다.

또 다른 이슈로는 하구를 포함한 연안 습지에서 끊임없이 진행 중인 서식지 소실에 관한 문제였다. 대다수의 네트워크 관리자들은 지자체들이 중앙정부와 기업들로부터 개발 제의를 강하게 받고 있으며 지방 정치가들과 주민들은 즉각적이고 단기적인 경제적 혜택을 얻고자 하기 때문에 이는 서식지를 보호하는 데 큰 장애물로 작용하고 있고, 결국 국가의 장기적인 공익이 희생되는 결과를 초래하게 될지도 모른다고 언급했다. 이쯤에서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철새와 자연보전이 기반된 생태관광에 관한 논의가 이루어졌으며, 모든 참여자들에게 아주 유익한 토론이 되었다.

_CEJ1105
서식지 관리자 워크숍 토론회 모습 ©EAAFP/Eugene Cheah

마지막으로 “당면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환경부와 해양수산부 관계자들이 향후 협력하겠다는 의지를 피력했다는 점이 모든 참가자들에게 무척이나 고무적인 일이 아닐 수 없다”는 의견도 상당히 많았다.

이번 워크숍은 EAAFP 대한민국 정부파트너인 환경부와 해당 (철새도래지)지자제외에 해양수산부, 한국물새네트워크, 한국도요물떼새네트워크, 동아시아람사르지역센터, 버드라이프 인터내셔널 등 총 80명이 참가하였다.

부대행사로 EAAFP 사무국과 서산 버드랜드는 20명의 서산 지역 유치원생들을 대상으로 이동성물새와 그들에게 중요한 기착지 역할을 하고 있는 서산 천수만의 중요성을 일깨우고자 환경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하였다. 큰뒷부리도요와 가창오리 색칠놀이를 시작으로 학생들은 버드랜드 내 야생동물치료센터를 방문하여 김태훈 재활관리사의 설명 및 감독 하에 근방에서 구조되어 치료받고 있는 물새들을 직접 두 눈으로 볼 수 있는 기회를 가졌다. 마지막으로 여름철새 뜸부기에 관한 4D 영상물 ‘날아라, 부르르’를 관람하면서 간접적으로 철새의 비행에 동참하여 천수만을 바라보는 즐거운 시간을 가졌다.

_CEJ0830
철새에 관련된 질문에 답을 하고 있는 서산 지역 아이들 ©EAAFP/Eugene Cheah
_CEJ0934
완성된 철새그림을 들고 있는 아이들 ©EAAFP/Eugene Cheah
  • 발표자료
  1. 철새와 생물다양성 보전을 위한 대한민국 과제 (환경부 장혜숙 사무관) [icon name=”icon-adobe-pdf”]
  2. EAAFP와 철새서식지네트워크(FSN) 소개·국제협력의 필요성 (EAAFP 김민선 프로그램 담당관) [icon name=”icon-adobe-pdf”]
  3. (관리사례) 서산 천수만
    *생태안내인 양성 등 체험 프로그램 운영 (서산 버드랜드 박민철 주무관) [icon name=”icon-adobe-pdf”]
  4. (관리사례) 낙동강 하구
    *체험 프로그램 운영 (낙동강하구 에코센터 이원호 주무관) [icon name=”icon-adobe-pdf”]
  5. (관리사례) 서천 금강하구 & 유부도
    *싱가폴과 자매서식지 결연 활동, 세계관광기구 생태관광지역 선정 (서천조류센터 홍지용 생태관광팀장) [icon name=”icon-adobe-pdf”]
  6. (지역 우수사례) 인천지역 협력 네트워킹 (인천경기 생태지역 TF 김순래 의장) [icon name=”icon-adobe-pdf”]
  7. (해외 관리사례) 생물다양성 보전 및 지역경제 활성화 (동아시아람사르지역센터
    서승오 팀장) [icon name=”icon-adobe-pdf”]

Written by

om4ot450

Published on

June 4, 2015